ESG 리스크 높은 취약 등급 줄고(13.3%p↓), 양호(7.3%p↑)·우수(6.0%p↑)는 늘어

이슈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중견기업 2,131 ESG 진단대상 기업 :2024년(853개)+2023년(735개)+2022년(543개)개사의 2022~2024년 ESG 평가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ESG 경영수준이 2년새 취약에서 양호 수준으로 2배 이상 향상됐다.
ESG 점수 상향을 주도한 것은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E) 분야다.
평가등급은 취약, 양호, 우수 등 3개 구간으로 구분해 관리한다.
상의는 지역상공회의소와 연계하여 전국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수준을 클릭 ESG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진단 및 현장코칭 방식으로 검증해 오고 있다.
상의가 진단을 시작한 2022년에는 ESG 관리가 안 되어 잠재적 위험이 높은 취약 등급기업이 절반에 가까운 45.7%에 달했다.
2024년 조사결과 취약 비중은 32.4%로 13.3%p 크게 줄어들고 양호 비중은 7.3%p 대폭 늘었으며 7점 이상을 받은 우수등급 기업도 6.0%p 증가했다.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등 영역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환경에서는 대기오염물질 항목의 점수가 지난 2022년 1.13점에서 2024년에는 6.48점으로 눈에 띄게 올랐다.
상의 관계자는 “기후변화,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위해성이 심각한 사회이슈로 부각되면서 지자체별로 기업들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감축시설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대기오염물질 감축 협약을 체결하는 등의 활동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부문은 근로환경’상승폭이 3.74점으로 가장 컸으며 MZ세대 등장으로 워라밸 등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기업대응도 이에 비례하여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2년전 보다 점수가 하락한 정보보호는 최근 몇 년간 해킹기법이 정교해지고 다크웹 등이 확산하면서 첨단기술력을 보유한 국내기업이 기술 유출·침해 및 브랜드 위조의 표적이 되었고 실제로 2017~2023년까지 총 140건의 사례가 적발된 적이 있었다.
지배구조 부문 정보공시와 감사항목은 2022년 대비 각각 1.71점 상승했다.
국내 지속가능성공시 법제화가 논의됨에 따라 기존 회계감사 위주에서 경영개선 및 위험관리 중심으로 변화되는 추세가 경영전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상의는 2023년 전국 26개 권역별 공급망ESG지원센터 설립 이후 국내 50개 지역을 순회하며 1천여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컨설팅, 기업 방문교육 등 국내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국내외 ESG 규제 대응을 위한 기업지원 등 산업부를 비롯한 정부기관 및 지자체의 노력 또한 기업 ESG 대응수준 향상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최근 ESG 규제완화에도 불구하고 수출기업은 공급망 내 환경·인권 관리이슈가 남아있다”며 “상의는 DPP 탄소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지원, 전국상의 연계 ESG 대응 설명회 등 국내기업이 경쟁력을 다지고 통상장벽을 넘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슈앤 = 황석곽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