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결정되면 반이재명 전선의 대통령 후보 단일화 추진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 컸다.
하지만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 김문수로 결정되자 단일화 속도가 정체성을 지나 각개전투 형태로 가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이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자신이 대통령 후보가 되면 단일화 추진을 분명하게 하겠다”는 약속을 후보 경선 기간 중 가장 강조해 온 데 따른 경선에서 설득력을 얻었다는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한마디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결정된다면 반이재명 전선이라는 커다란 집단을 형성해 대응하겠다는 전략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상황은 공당인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결정된 상황에서 굳이 승리를 위해서 무소속 후보 한덕수와 단일화 논의가 맞느냐는 역설이다.
김문수 후보만 내세워도 이재명을 이길 수 있다는 오만이다.
이미 이명박, 박근혜 때 대선 캠프에서 활약해 본 경험이 많은 인물들은 승리를 자신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점은 한덕수 후보측도 엇비슷 하나 김문수 후보측이 더 강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일 수 있다는데 이들 김문수 후보측근들이 현재는 비당권파이라는 점이다.
즉 이 같은 정황은 김재원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이 대표적으로 나서 언급한 “투표용지에 2번
김문수가 인쇄될 것이고 한덕수는 이름조차 없을 것”이라는 주장은 ‘단일화는 이미 물 건너간 것’이라는 추측이 당연시하게 한다.
여기에 김 후보 주위에 포진한 이재오, 박계동 등의 권력형 추종자들의 호들갑도 후보 마음을 흔들어 단일화에 대한 동상이몽 변화를 만들기 충분하다는 지적이 당내, 외에서 쏟아진다.
윤석열 탄핵에 따른 급격한 대선 준비 부족으로 대선에 합류해 본 경험이 있거나 책사나 모사꾼, 협잡으로 인정받았던 인물들이 우후죽순으로 난립 된 상황이어서 이들 의견을 무시하기엔 너무 시간이 촉박하다.
반면 단일화를 압박하며 김문수 후보를 겨냥하는 측은 당 지도부 권영세, 권성동을 주축으로 하는 소위 당권파에 대한 곱지 않은 눈초리다.
이들 당권파 쌍권이 중심으로 당내 후보는 김문수, 대통령 단일화 후보는 한덕수라는 프레임에 대한 의구심을 낳게 하고 있다는 중론이 국회 취재 기자들 시각이 중론이다.
당사자들은 이런 근거없는 제시에 반박하고 전혀 아닐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일 것이나 이들이 지금껏 보여준 행보는 이런 추론을 만들어주는 부분은 다양하고 충분하다는 게 정치권 분석이다.
진위 여부를 떠나서라도 이런 저런 정황으로 DJP 이후 거대한 반이재명 캠프가 형성된다 해도 과연 대선 승리까지 갈 수 있느냐는 설득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황에는 소위 당권파들이 지난 국회의원 총선 시에도 승리보다는 아름다운 승패가 더 값지다는 감언이설로 참패도 아닌 완전 백기 투항 같은 상황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 상기다.
아직도 아군인지 적인지 구분이 안 되는 말도 안 되는 인식 팽배에 따른 자가당착이 이번 대선에서도 이 점을 깔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선거에서 이기자게 아닌 포기보다 끝까지 완주 참여에 의의를 두자는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윤석열 탄핵 이후 벌어지는 국민의힘은 정권 창출이라는 여권 프리미엄도, 야권의 입법 폭주라는 비난에도 불구 따로국밥이라는 오명에서 탈출할 여지가 희미하다는 쓴소리에 따라 대선 결과 예측을 어느 정도 근접하게 만든다.
오죽하면 “야당인 민주당은 적어도 공유, 함께, 같이 개념이라도 적어도 흉내 내고 있지만, 여권인 국민의힘은 오직 나만이 길게 오래 유지하자는 이것 하나만 봐도 틀렸다”는 웃지 못 할 말이 정말 웃지 못하게 한다.
[이슈앤 = 배정순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