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대한상의는 소플을 통해 500여 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하반기 기업의 채용 트렌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 69.2%는 채용 시 AI 역량을 고려한다고 말했고 이어 소통·협업 능력(55.4%), 직무 전문성(54.9%)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겠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도전정신·문제해결능력(25.8%), 창의성·혁신 역량(25.0%), 실행력·주도성(20.8%), 윤리의식·신뢰(19.0%), 글로벌 역량(6.8%)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신입보다는 경력이 하반기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응답기업의 51%는 채용 시 경력직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으며 신입과 경력을 모두 비슷하게 선호한다는 기업은 38.7%, 신입을 선호한다고 밝힌 기업은 10.3%에 불과했다.
AI 전문 인력이 필요한가? 를 물은 질문에 기업의 69.4%는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유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할 수 있는 인재(31.6%), AI를 활용해 서비스나 업무 방식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재(25.9%), AI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인재(15.8%)의 필요성에 근거한다.
이와 관련해 한 클라우드 업체 관계자는 “국내 AI인재 공급은 이러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AI 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이나 해외 인재를 데려오는 입체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 관련 법제도 변화가 기업들의 채용 계획 수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97.4%는 노동 관련 제도의 변화가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으며 관련한 주요 이슈는 주4.5일제(29.3%), 정년연장(26.7%), 노란봉투법(25.8%), 포괄임금제 폐지(15.5%) 등이 꼽혔다.
이에 따라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고용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이 AI 전환에 집중하고 있어 하반기 인재의 핵심 키워드도 단연 AI 인듯하다”며 “미래기술에 대한 다양한 채용시장의 변화를 관찰해 산업부문의 인력수급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때”고 전했다.
[이슈앤 = 민동숙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