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프로그램은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특별상 수상 작가를 배출했다.
지난 2018년부터 다학제 융복합을 통한 예술의 영역 확장을 추구해온 다원예술의 꾸준한 시도가 다채로운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MMCA다원예술 2021<멀티버스>의 커미션 작품인 후니다킴의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는 7월 세계 최대 규모의 미디어아트 시상제도인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인공생명 및 인공지능 부분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는 오스트리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재단이 주최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미디어아트 상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예술가에게 수여하고 있다.
후니다킴의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2021)는 자율주행차의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공간을 기존과 다른 감각으로 경험하게 하는 작업이다.
MMCA다원예술은 한국 다원예술·동시대예술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는 프로덕션 하우스 역할을 지향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성과를 일궈내고 있다.
프로덕션 하우스는 단순히 완성된 작품을 초청하여 공연하는 극장과 달리 예술가와 작업을 함께 구상 및 의뢰하며 섬세하게 작품을 제작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그간 MMCA다원예술과 함께한 정금형 <장난감 프로토타입>의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 초청(2022), 임고은 <그림자-숲>의 핀란드 공연예술축제 Drifts Festival 초청(2025)을 비롯해 권하윤, 안정주·전소정 작가의 커미션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등 국공립미술관에 소장되기도 했다.
또한 MMCA다원예술은 시의적인 융복합 키워드와 주제로 월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2024년부터는 해외 기관과 교류·협력하면서 젊은 작가를 다른 도시의 맥락에서 소개하는 쇼케이스를 정례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명상, 2024년에는 우주, 2025년은 숲을 주제로 매월 다양한 작가들과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며 2024년 덴마크, 2025년에는 일본 교토에 이어 오는 2026년에는 네덜란드 기관과 쇼케이스를 협력할 예정이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은 동시대 예술계에 다원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함께 고민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며 국내외 여러 기관과 협력하면서 예술적 공생과 생태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슈앤 = 장하성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