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금천구의회 정재동 구의원(더불어민주당, 시흥 1,4동)은 제255회 정례회에 본회의 구정질문에서 산불 방재체계의 미비 등을 지적하며 금천구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먼저 “서울시 자치구 중 유일하게 금천구만 생활폐기물 공공소각장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서울시 마포구 제2소각장 건설이 소송으로 지연되면서 2030년 가동도 불투명한 상황임에도 구는 적극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시가 공공소각장 건설에 실패할 경우 금천구는 민간소각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이는 2~3배의 처리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며 “광명시와의 협의를 통한 공동이용 또는 자체 소각장 건설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의원은 산불 방재체계에 대한 허술한 대응도 문제 삼았다.
“금천구는 294ha의 산림과 32km의 둘레길을 보유하고 있지만 산불감시인력은 고작 8명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6~70대 고령자 위주”라며 “산불이 났을 때 초기 진화 및 잔불 진화 지원에 투입되는 구 직원 산불진화대는 총 291명이 구성되어 있으나 방염복은 고작 8벌만 보유하고 있는 등 보호장구, 산불감시 장비, 지능형 CCTV 등 산불 대응 인프라 역시 현저히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보이는 소화기 보관함이 잠겨 있어 화재 시 즉각적인 사용이 어렵고 호암산 수관수막타워 설치 사업은 예산 확보조차 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산불은 기다려주지 않는다”며 즉각적인 예산 확보와 드론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대응체계 구축을 요구했다.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사고 등 서울시 내 지반침하 사고 사례들을 언급하며 금천구 또한 신안산선 건설로 인해 지반침하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경고했다.
정 의원은 “우리 구는 시공사의 점검자료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이번 특별안전점검 결과자료를 제대로 확인조차 못하고 있다”며 “시공사의 육안조사 결과 외에 지표투과레이더 점검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공사현장 지반현황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등 공사장 안전관리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지반침하 위험지역에 대한 이중삼중의 점검과 기술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며,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금천구의 근본적인 안전관리체계 개선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이슈앤 = 전정웅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