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및 징계로 인한 장군의 직위 해제 또는 보직 해임의 경우 현역에서 전역되지 못하도록 명시하여 징계 및 처벌 회피수단 악용 방지

이슈앤/ 12·3 불법 비상계업에 공모하거나 가담한 혐의를 받는 현역장성들의 징계위원회를 개최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가 부족해 사실상 징계처분을 하지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윤준병 국회의원은 20일 국방부 장관 직속의 장성급 장교 징계위원회를 설치하여 장성급 장교가 엄정한 수사 및 처벌을 받도록 하는 군 장성 징계법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 군인사법 제85조의2는 군인의 징계처분을 위한 징계위원회 구성 시 심의 대상자보다 선임인 장교·준사관 또는 부사관 중에서 3명 이상으로 구성하되 장교가 1명 이상 포합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군의 최고 선임 장교인 4성 장군이 징계처분 심의 대상자가 되는 경우 징계위원회 개최를 위해선 심의 대상자보다 선임장교가 없어 사실상 징계위원회를 구성할 수 없는 것이 한계다.
더욱이, 육군참모총장이 보직 해임되는 경우 전역이 되어 민간인 신분이 되는 만큼 현행법도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해 대장 직급은 군에서 비위를 저질러도 징계를 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하루빨리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윤준병 의원은 군 장성 징계에 대한 형평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징계처분 심의 대상자의 계급이 장성급으로서 3인 이상의 선임자로 징계위원회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국방부 장관 직속으로 ‘장성급 장교 징계위원회’를 설치·운영하도록 규정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
윤준병 의원은 “내란수괴 윤석열의 12·3 불법 비상계엄 사태 당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을 맡아 내란행위에 가담한 행위는 명확하지만, 현행법의 허점으로 인해 징계위원회 구성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미 문재인 정부 당시인 2018년 군 적폐청산위원회에서도 4성 장군은 비위를 저질러도 징계위원회를 구성할 수 없는 현행 법규를 개정하라고 국방부에 권고했지만 국방부의 반대로 현재까지 법의 사각지대가 남아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의원은 “이에 징계처분 심의 대상자가 4성 장군인 경우 등 3인 이상의 선임자로 징계위원회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 국방부 장관 직속의 장성급 장교 징계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수사 및 징계로 인해 보직 해임된 경우에는 현역 직책을 그대로 유지한 채 조사를 받도록 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며 “군 징계처분의 법률적 미비를 보완하는 개정안이 조속히 심사·의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슈앤 = 정철희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