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오후 11시경 비상계엄령이 선포됐다.
지난 1987년 이후 44년만에 비상계엄 발령이었으나, 계엄 선언 2시간여만에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로 6시간여만에 종결됐다.
해제에 발맞춘 야당인 민주당은 즉각 윤석열 대통령 퇴진 탄핵 또는 퇴진에 정당성을 부여하게 한다.
이를 두고 일부 국민은 민주당이 원하는 구도로 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표명도 나온다.
특히 이재명 민주당 당 대표를 중심으로 민주당은 도 넘는 입법권 행사에 변명 없는 것이 마치 국민 묵인으로 여기고 한술 더 떠 대통령 탄핵과 퇴진을 당의 정치 목표이자 당면과제로 이는 국민 전체 목소리에 따른 행위로 둔갑 된 지적도 쏟아진다.
그래서인지 윤석열 대통령을 옹호하는 측들은 민주당이 원하는 탄핵 또는 퇴진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들이 많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벌어진 51대 49라는 이분법에 따른 좌, 우 국민 분열 상황이 아직도 유지되며 노출된 상황은 설득력 있다.
최순실이라는 과거 이름을 지닌 숙명적인 여인 한 사람 농간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정치 놀음했다는 지탄을 얻었다.
어찌 되었든 문제 상황은 달리 볼 수는 있으나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와 관련 해 끊임없는 야당의 치밀한 공세를 이용한 이재명 당 대표 사법처리 죄명들을 삭제시키려는 시도는 국민에게 이미 가스라이팅으로 자리해 있는 중이라는 현실 직시다.
이런 상황 반영은 지난 총선 결과로 나타났고 여권인 국민의힘이 여소야대를 자초했다는 문제에 그 누구도 인정하지 않고 책임질 사람도 없는 게 사실이 돼 여권의 딜레마로 남아 있다.
여소야대를 탓하며 여소라는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여권 무게 추가 전혀 없다는 자포자기는 물론 심지어 야권 행동에 동조적인 움직임까지 유추하게 만드는 일이 하나둘씩 나타는거 아니냐는 시각을 부정할 이유가 없어 보이게 만든다.
비상계엄에 대한 잘잘못을 논하기 이전에 김건희 여사 등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포함한 입법권 남용을 받는 거대 야당 민주당을 향해 여권은 무장해제 된 지 오래됐다.
여권이 문재인 지난 정부에서부터 시작된 김건희 여사 관련 등을 포함한 사법적 문제점을 처리 못하고 차기 정부에까지 이어져 왔으나 이제라도 총체적 마무리 마저 야당이 막으려 하는데도 불구 여권은 지금껏 무얼 했는지 돌아보아야 할 때는 아닌가 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일부 국민은 비상계엄 필요성을 두둔하려는 태도도 만만치 않다.
비상계엄을 두둔해서라도 국가와 국민을 겁박하는 정치권에 대한 경각심이 커서라 여기고 싶다는 심정이 앞선다.
계엄에 대한 국민적 시각은 결국 전 국민 정치화로 내몬 상황에 더 깊은 골만을 남기고 심화시키는 것 같다.
그래서 시시비비는 네 편, 내 편에 따라 그때그때 다를 수밖에 없다.
정치는 생물이라 했는데 작금의 정치는 고인 물에 담긴 악취로 인해 국민적 외면을 살 수밖에 없게 유도한다.
경종을 울리려는 방법론이 아무리 어렵고 힘들어도 비상계엄만 할까 하는 안이함이 무얼 뜻하는지 이제라도 정치권은 똑똑하게 깨달아야 할 것이다,
내가 하면 로맨스요, 네가 하면 불륜이라는 말은 좌,우로 나뉘어진 국민의 51대 49 상태로 입법권을 가진 국회 치외법권 집단이라 부르기보다는 폭력을 행사하면서도 폭력인줄 모르는 양아치 집단이 아닌가 의심하게 답답하다.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