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서울시의회 저출생·고령사회 문제극복을 위한 특별위원회는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와 공동으로 한·일 지역복지 국제포럼을 21일 서울가든호텔에서 개최했다.
일본 지역복지의 석학에게 돌봄통합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서울의 지역사회 중심 통합돌봄 체계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 지역복지 학계, 현장, 정책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의 선진적인 지역복지 사례와 철학을 공유하며 지속가능한 이용자 중심의 통합 복지 모델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총 2부로 구성됐으며 1부는 오하시 겐사쿠 일본사회사업대학 명예교수가 일본 지역복지의 전해, 하라다 마사키 일본복지대학 학장이 지역공생사회 정책 동향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했다.
이후 이봉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좌장을 다나카 히데키 일본의료대학 교수와 박태영 한국지역복지아카데미 이사장이 참여해 질의응답과 토론을 펼쳤으며 특히 차흥봉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총평이 이어져 포럼의 의미를 더했다.
이후 2부에서는 만찬과 교류회를 통해 한·일 사회복지 관계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며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적 연대를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현훈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국내·외 네트워크와 협력을 통해 시민 중심의 복지 기반을 더욱 탄탄히 다져가겠다"고 말했다.
강석주 저출생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일본은 이미 초고령사회를 겪으며 지역 중심의 돌봄통합체계를 정착시켜 왔고 그 과정에서 쌓은 경험과 지혜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서로의 고민과 해법을 나누는 중요한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는 단순히 시설과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관계 기반 위에서 완성된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도시 간 지식교류와 인적네트워크를 강화하며 더 나은 도시를 향한 공동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슈앤 = 이진수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