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 우원식 국회의장은 '여‧야‧의‧정 협의체'와 관련 "가까스로 마련된 여‧야‧의‧정 대화 분위기를 살려 정부가 의정갈등 해결의 첫 걸음을 뗄 수 있기를 바랬지만 이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우 의장은 19일 열린 국회 본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본회의에 부의된 법안의 처리를 미루면서까지 협의체가 출범할 수 있도록 지원했지만 첫 발을 떼지못해 국회의장 으로서는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추석 연휴가 지나자마자 국회에서 여야가 대치하는 상황을 보시게 해서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특히 '여‧야‧의‧정 협의체'가 속도를 내지못하는 것에 대해 "정부는 국회가 의사 일정까지 조정해 마련한 시간을 제대로 쓰지 않고 흘려 보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가까스로 마련된 '여‧야‧의‧정 협의체' 대화 분위기를 살려 정부가 의정 갈등 해결의 첫 걸음을 뗄 수 있기를 바랬지만 이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는 의료계의 협의체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정부가 어떤 노력을 했는지는 보이지 않고, 연휴 기간 응급의료 대란이 없었다는 자평만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나마 응급실을 이용하려던 국민의 체감, 현장 분위기와는 온도 차가 있다는 것이 다수 언론의 지적"이라면서 "정부의 자평이 과연, 아픈 것을 참은 국민을 살핀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정부를 직격했다.
우 의장은 "연휴를 넘겼다고 의료사태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 안전에 앞서는 것은 없다. 의정갈등으로 인한 국민의 불안에 언제까지 손 놓고 있을 것이냐"고 목소리를높였다.
그러면서 "거듭 강조하지만, 지금의 의료사태 상황이 이렇게까지 온 것에는 대통령과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다는 것이 국민의 평가"라면서 "국민이 불안하고 불편해하는 일에 무한책임을 지는 것이 국정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우 의장은 "여전히 열쇠는 대통령과 정부에게 있다. 절실한 것은 타협점을 찾으려는 노력이다"며 "대통령과 정부가 더 적극적이고 유연하게 태도를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의료계도 대승적으로 대화에 참여함으로써 국민의 불안과 고통을 더는 일에 동참할 것을 거듭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