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 국민의힘 한동훈 당대표가 당정 지지율의 동반 추락과 김건희 여사 의혹 등 악재 속에 10·16 재·보궐선거에서 보수당 텃밭(부산 금정과 인천 강화)을 지켜내면서 '당정 쇄신'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다.
한 대표의 '당정 쇄신' 드라이브의 초점은 김건희 여사에 맞춰졌다. 이는 비록 재보선에서 한차례 고비는 넘겼지만 '선거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의 잇단 폭로 ,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 불기소, 야당의 김여사 특검법 재발의 등 '김 여사 이슈'가 여전히 여권에 '최대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한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에서 "김 여사 일로 모든 정치 이슈가 덮이면서 정부의 개혁 추진이 국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며 △김 여사 대외활동 중단, △명태균 논란 등 의혹 규명 적극 협조,△대통령실 인적 쇄신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특히 그는 "국민들이 이번 선거를 통해 우리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셨으니 이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며 "국민의 뜻대로 정부 여당의 변화와 쇄신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그간 김 여사 문제와 관련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의사 를 표명해온 것과 달리, 공개회의 석상에서 김 여사를 거명하며 공식요구를 내놓아 주목된다.
또 한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를 앞두고 대통령실을 향한 압박수위를 한층 끌어올리며 자신의 요구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 대표가 윤 대통령과 독대를 앞두고 김 여사와 관련한 '3대 요구'를 내놓음에 따라, 윤 대통령이 부인에 대한 여당 대표의 공개 요구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윤 대통령이 한 대표의 요구를 어느 정도까지 수용하느냐에 따라 당정 관계는 물론 여권의 권력 지형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내주 초 예정된 윤 대통령과 한 대표 독대를 의식해 공식 반응을 자제했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독대 전에 '청구서'부터 내민 한 대표에 대한 불편한 기류가 감지된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