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선제 조치를 통해 사고 예방…긴급, 틈새 지원사업도 효과 톡톡

이슈앤/ 서울시 노원구는 체계적인 건축안전행정으로 건축 위험요소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는 지난 2022년 7월 조직개편으로 건축안전센터를 신설 건축안전행정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센터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공사 현장 안전관리, 건축분야 기술검토 등 다양한 업무 수행을 하는 한편 민간건축물의 안전을 위한 지원사업을 통해 사각지대 없는 안전 행정을 추구하고 있다.
구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는 노후 건축물 안전 점검, 위험건축물 긴급조치 및 구조보강 비용지원, 소규모 노후 주택 담장 보수보강 비용지원 등이 있다.
먼저 노후 건축물 안전 점검은 위험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소규모 노후 건축물을 직권으로 선정해 안전 점검에 나선다.
전문가의 현장점검 실시 결과 미흡한 경우 2차 점검을 통해 구조, 화재, 에너지성능 등 안전 위해요소를 파악한다.
건물주나 건물관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찾아가는 점검도 가능하다.
점검 경과 미흡 또는 불량 등급의 판정을 받은 위험건축물은 긴급 안전조치, 구조보강 비용지원으로 연계된다.
해당 등급의 건축물 중 정밀진단이 필요한 곳에는 응급조치, 정밀안전진단 비용을 지원하며 서울시 및 노원구가 부담한다.
1, 2차 점검 결과를 받은 후 구조보강과 안전조치 계획을 수립한 건축물에 대해서는 구조보강 공사비용 또한 80% 지원한다.
건축물의 형태난 규모에 따라 지원금액은 최대 4천 4백만 원까지 가능하며 건축물 소유자는 비용의 20% 또는 지원 범위 초과분을 부담하면 된다.
이와 별개로 20세대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위험 담장에 대해서도 구는 지원에 나서고 있다.
구는 소유자의 신청에 따라 서류상 결격 사항, 현장의 위험 요소를 심사한 후 보수보강 공사비의 50% 이내 1개소당 최대 3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오승록 구청장은 “작은 위험 요소도 큰 사고로 번질 수 있기에 적극적인 예방 활동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며 “구민들께서도 구의 안전 점검, 비용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본인과 이웃의 안전을 지키는 데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이슈앤 = 전정웅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