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대구광역시에 침수 사고 대비 차량 진입 차단 시설 24곳이 설치돼야 하는데 현재 진행중인 사업을 포함 2025년까지 5곳이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오송 지하도로 침수로 야기 된 참사 이후 근본적인 대책 강구로 전국 지자체들이 서둘러 침수 사고 대비 지하도 차량 진입 차단 시설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인 대구시는 재해 예방은 뒷전이라는 지적이 잇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으로 보인다.
이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시 빚 청산이 우선순위라는 목표에 따른 것으로 대구시 예산 자체가 빚 청산과 관련한 분야가 아닌 것은 현재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업비가 전혀 반영이 안 되는 게 대구시 모습으로 알려졌다.
오죽하면 대구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홍 시장의 빚 청산 우선순위에 밀려 지역구 사업 자체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가 현실이라는 푸념까지 나오는 상태다.
이와 관련 한국언론연대는 대구시 담당 공무원과 통화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시설말고 나머지 19곳 시설 추진을 묻자 “현재로서는 확정된 바가 없어 뭐라고 할 말이 없다”며 “동로 서로 중 서로 경유에는 다소 미진한 부분에 대해 사업을 서둘러야 할 필요는 있지만 이도 사실상 진행할 여유는 없는 것으로 파악 된다”고 전했다.
이 담당자는 “1곳 설치 비용이 대략 5억에서 6억 정도 소요 되는 것으로 아는데 이런 예산 집행이 사실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담당자일뿐 결정권자가 아니라 이와 관련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더 이상 곤란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혹시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한 유관기관과 현장 중심의 선제적 대응은 잘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만 덧붙였다.
강대식 국회의원은 “이 문제는 대구 시정을 책임지는 시장 고유 권한으로 국회 차원에서 지원을 하자면 예산 확보 등이 있으나 이도 만만치 않아 난감하다”며 “대구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중지를 모아 재해 예방이라는 대처에 적극적인 노력을 해 보겠다”고 역설했다.
이인선 국회의원측은 “실체적인 상황 파악을 통해 문제가 있다면 총체적인 건의를 시에 요청해 재해 예방 방어 전력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은 15센티미터 이상의 물이 지하차도에 차오르면 자동으로 차량 진입을 막아서 침수 사고 예방을 하자는취지로 국가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슈앤 = 전정웅 기자]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