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내부 직원 배 불리기에 앞서 소외계층 돕기 등 사회공헌 필요”

이슈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9~2023년) 당기순이익 및 사회공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협중앙회의 당기순이익은 2019년 8,878억 1,800만 원에서 지난해 1조 5,067억 3,600만 원으로 5년 사이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기순이익이 증가한 이유는 농협은행의 지난해 이자 이익이 7조 6,878억 원에 달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반면, 농협중앙회의 사회공헌비는 2021년 44억 3,800만 원, 2022년 39억 7,000만 원, 2023년 36억 8,300만 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2019년 50억 9,400만 원과 비교해 5년 사이 3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비의 감소는 소외계층 지원, 농촌 일손돕기 등 <지역사회와 공익을 위한 사업비>가 2019년 47억 2,700만 원, 2020년 42억 4,200만 원, 2021년 39억 2,200만 원, 2022년 31억 4,900만 원, 2023년 20억 1,800만 원으로 매년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농협중앙회 정규직의 평균 임금은 지난해 처음으로 1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평균 임금은 지난 2019년 9천만 원에서 매년 증가해왔으며, 무기계약직과 비정규직의 임금도 지속적 증가추세를 보였다.
또한, 농협중앙회 회장의 연봉은 지난 2019년 3억 6,000만 원에서 2020년 3억 9,000만 원으로 증가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농협의 당기순이익과 정규직 등 직원의 평균 임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다르게 사회공헌비가 감소추세를 보여 매우 아쉽다”며, “이자 이익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내부 배 불리기에 쓰기에 앞서 소외계층을 돌아보고 농촌 일손돕기 등 사회공헌에도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슈앤 배정순 기자 js5954193@naver.com
[저작권자ⓒ 이슈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